보안 운영/보안 위협 탐지

BruteForce 공격이란?

노과장임 2025. 4. 17. 08:35
반응형

BruteForce 공격이란?

네트워크 보안과 인증 시스템에서 자주 언급되는 BruteForce 공격은, 말 그대로 무차별 대입 공격을 의미한다. 이 글에서는 BruteForce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보안 장비 및 로그 분석에서의 활용 방식까지 정리한다.


1. BruteForce 개념 정리

**BruteForce(무차별 대입 공격)**는 인증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합을 시도하는 공격 기법이다. 주로 ID와 비밀번호 조합을 맞추기 위해 자동화된 스크립트를 통해 로그인 시도를 반복한다.

  • 공격 대상: 웹 로그인 페이지, SSH, FTP, DB 서버 등
  • 목적: 사용자 계정 탈취, 시스템 권한 획득, 추가 공격을 위한 발판 확보
  • 방식: 패스워드 리스트를 활용하거나, 사전(dictionary) 기반으로 자동화된 로그인 시도

2. BruteForce 특징

항목 설명
속도 공격 속도는 제한 없이 빠르게 진행 가능. 방어체계 미흡 시 수 분 내 계정 탈취 가능
패턴 동일한 계정 혹은 IP에서 수십~수백 건의 로그인 시도가 짧은 시간에 발생
탐지 시도 횟수, 실패 횟수, 짧은 간격의 로그인 로그로 탐지 가능
변형 Distributed BruteForce (분산 무차별 대입), Credential Stuffing 등으로 진화 가능

3. 보안 장비에서 BruteForce 탐지

1) IPS/IDS 장비

  • 시그니처 기반 또는 동작 기반 탐지
  • 예시: attack_nm = BruteForce, sig_name = SSH BruteForce Login Attempt

2) 웹 방화벽 (WAF)

  • 동일 IP에서 반복적인 로그인 시도 감지
  • 로그인 페이지 기준 트래픽 이상 징후 탐지

3) SIEM

  • 이벤트 기반 이상 탐지
  • 다음과 같은 필드를 기준으로 분석됨:
plaintext

src_ip = 공격자 IP login_id = 반복적으로 사용된 로그인 계정 result = fail(로그인 실패) attempt_count >= 임계치

4. BruteForce 관련 로그 예시

plaintext

event_type=login src_ip=192.168.1.100 login_id=admin result=fail attempt_count=25 event_time=2025-04-15 09:00:00
  • 시나리오: 특정 IP에서 동일 계정(admin)으로 로그인 시도가 25회 이상 실패한 경우, BruteForce 의심 이벤트로 분류

5. 대응 방안

대응 전략설명
계정 잠금 정책 일정 횟수 실패 시 계정 잠금 처리
CAPTCHA 로그인 시 CAPTCHA 도입으로 자동화 차단
IP 차단 이상 행위 IP 자동 차단 (IPS, FW, WAF 연동)
MFA 다중 인증 체계 적용으로 공격 무력화

6. 결론

BruteForce 공격은 가장 단순하지만 여전히 효과적인 공격 방식이다. 특히 내부 보안 설정이 미흡하거나, 기본 계정과 약한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성공 가능성이 높다. SIEM이나 WAF, IDS 등의 보안 장비에서 BruteForce 탐지를 위한 로그 분석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선제적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