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9

[리눅스/실무자] 리눅스 파일시스템 구조 이해 — 2편 (흐름 확인 실습)

개요1편에서는 리눅스 파일시스템의 개념과 철학, 그리고 슈퍼블록·inode·마운트·디렉토리 구조의 흐름을 설명했다. 이번 2편에서는 그 요소들이 실제로 어디서 보이고, 어떤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지를 직접 따라가 본다. **“리눅스는 모든 것을 파일로 다룬다”**는 말이 실습으로 증명되는 과정이다.1. 슈퍼블록 확인슈퍼블록은 파일시스템의 전체 메타데이터가 담긴 구조체다. bashsudo dumpe2fs /dev/sda1 | grep -i superblock출력 예시:sqlPrimary superblock at 0Backup superblock at 32768Backup superblock at 98304👉 보는 방법:Primary superblock은 메인 슈퍼블록.Backup superblock은 ..

리눅스/실무자 2025.09.02

[리눅스/실무자] 리눅스 파일시스템 구조 이해 — 1편 (개념과 철학)

개요리눅스는 **“모든 것을 파일로 다룬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설계된 운영체제다. 윈도우 역시 파일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실제로는 접근 방식에 큰 차이가 있다. 윈도우에서 파일은 주로 데이터 저장 단위이며, 시스템 정보는 레지스트리나 GUI 도구로 숨겨져 있다. 반면 리눅스는 CPU 정보, 메모리, 네트워크 장치 같은 시스템 자원까지 파일로 표현해 운영자가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투명성이 리눅스의 가장 큰 특징이며, 파일시스템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곧 리눅스를 이해하는 첫걸음이다.핵심 요소 (윈도우와 비교)루트(/) vs 드라이브 문자(C:, D:)리눅스: / 하나의 루트 밑에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가 계층적으로 연결된다. 외장 디스크, 네트워크 스토리지까지 /mnt 같은 위치에 마운트..

리눅스/실무자 2025.09.01

[리눅스마스터1급] 운영체제의 개요 – 3회독

1) 학습 요구 정리운영체제 개요는 필기 시험과 실무의 기초가 된다. 1회독에서는 기본 개념을 파악했고, 2회독에서는 연결과 예시를 통해 흐름을 강화했다. 3회독에서는 앞선 내용을 확장해 더 깊은 원리와 배경을 설명하며, 서술형 답안 구성을 준비한다.2) 운영체제의 개요운영체제는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기반 소프트웨어다. CPU, 메모리, I/O 장치 같은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직접 다루지 않아도 되도록 추상화한다. 즉, 운영체제는 자원 관리자이자 사용자와 하드웨어를 잇는 중재자다.운영체제를 이해하면 문제 발생 시 어느 계층에서 오류가 생겼는지 빠르게 진단할 수 있고,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을 세울 수 있다.3) 운영체제의 목적운영체제 목적은 네 가지로 요약되지만..

리눅스/입문자 2025.08.25

[리눅스마스터1급] 운영체제의 개요 – 2회독

1) 운영체제 개요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핵심 기반이다. 시스템 전반의 안정성과 성능을 좌우하기 때문에 서버 관리, 네트워크 설정, 보안 실무까지 모든 영역에서 중요하다. 이번 2회독에서는 개념 간 연결을 강화하고, 실무 예시와 표를 추가하여 이해도를 높인다.2) 주요 개념과 키워드운영체제를 이해하려면 먼저 기초 개념을 정확히 짚어야 한다. 이 영역은 시험 대비뿐만 아니라 실무 문제 해결의 출발점이다.사용자 인터페이스(UI): 사용자가 운영체제와 상호작용하는 창구. CLI(터미널 명령어 기반)는 서버 관리에서 주로 쓰이고, GUI는 데스크톱 환경에서 편의성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음성·제스처 인터페이스도 확산되고 있다.시스템 호출(System Call): 응용 프로그램이 커널의 기능을 ..

리눅스/입문자 2025.08.24

[네트워크/실무자] OSI 7계층 구조 이해 — 2편

1) 개요네트워크를 이해한다는 것은 단순히 이론을 외우는 게 아니라, 문제가 어디서 끊겼는지 계층별로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OSI 7계층은 통신이 어떤 단계를 거쳐 완성되는지 보여주는 지도다. 이번 글에서는 이 지도를 리눅스 명령어와 함께 따라가며, 실무자가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2) 핵심 요소 (계층별 원리와 확인 포인트)(1) 물리 계층 (L1)역할: 케이블, 무선 신호, NIC 같은 하드웨어를 통해 비트(0과 1)를 전송.왜 필요한가: 물리적 신호가 잡히지 않으면 위 계층이 정상이어도 통신 불가.연관 용어: NIC, 이더넷, 링크업(Link Up).(2) 데이터링크 계층 (L2)역할: 인접한 두 장치 간 프레임 전달, 오류 검출.왜 필요한가: 단순 신호가 아닌..

[네트워크/실무자] OSI 7계층 구조 이해 — 1편

1) 개요 (왜 알아야 하는가)네트워크를 공부하다 보면 “서버에 연결이 안 된다”, “포트가 막혔다” 같은 문제를 자주 마주한다. 이럴 때 어디서부터 문제를 확인해야 할까? 케이블일까, IP일까, 아니면 서버 프로그램일까?이처럼 원인을 좁히지 못하면 문제 해결은 끝없이 돌아가게 된다. 이를 체계적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이 바로 **OSI 7계층 모델(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이다.OSI 모델은 데이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7단계로 나누어 보여주기 때문에,어디서 문제가 생겼는지,어떤 도구로 확인해야 하는지, 단계별로 짚어낼 수 있다.즉, OSI 7계층은 단순히 시험을 위한 이론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이해하고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좌표계다.2) 핵심 요소 (그래서 무엇인가)OS..

[리눅스마스터1급]운영체제의 개요 – 1회독

1) 운영체제 개요운영체제(OS)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자원을 관리하며, 사용자와 프로그램이 하드웨어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다. 본 글에서는 정의, 목적, 역할과 기능, 구조, 운용 기법, 발전 과정, 운영체제 사례, 그리고 모바일·임베디드·IoT 환경까지 전반적인 흐름을 1회독 수준으로 정리한다.2) 주요 개념과 키워드사용자 인터페이스(UI): CLI, GUI, 음성, 제스처 등시스템 호출(System Call): 응용 프로그램이 커널 서비스를 요청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성능 지표: 스루풋(Throughput), 반환시간(Turnaround Time), 신뢰도(Reliability), 가용도(Availability)자원 스케줄링..

리눅스/입문자 2025.08.22

[리눅스/실무자] 리눅스란 무엇인가? — 2편

1) 개요1편에서는 리눅스의 구조와 부팅 순서를 큰 그림으로 살펴보았다.이번 2편은 그 내용을 실제 시스템에서 명령어로 직접 확인하는 단계다.즉, “커널 → 파일시스템 → systemd → 프로세스/데몬 → 셸”이라는 흐름을 출력 결과로 눈으로 따라가며 검증한다.이 과정은 문제 해결이 아니라, 정상 동작의 기준선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2) 부팅 흐름을 따라가는 실습1단계: 커널 확인부트로더가 커널을 메모리에 적재하면 시스템은 가장 먼저 커널이 주도한다.bashuname -a # 커널 버전/아키 확인dmesg | head # 초기 부팅 메시지 일부journalctl -k -b # 현재 부팅의 커널 로그 출력에서 커널 버전, 장치 초기화, ..

리눅스/실무자 2025.08.21

[리눅스/실무자] 리눅스란 무엇인가? — 1편

1) 개요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는 하드웨어와 사용자를 이어주는 다리다.CPU, 메모리, 디스크 같은 자원은 본래 기계어 수준으로만 제어할 수 있었지만,운영체제가 이를 대신 관리하면서 누구나 프로그램을 쉽게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운영체제의 기본 역할은 두 가지다.자원 관리: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더라도 충돌 없이 자원을 배분인터페이스 제공: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의식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도록 지원운영체제에는 윈도우, 맥OS, 유닉스 계열이 있으며,그중 **리눅스(Linux)**는 유닉스 철학을 계승한 오픈소스 운영체제다.오늘날 서버, 클라우드, 네트워크 장비, 모바일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리눅스를 이해하려면 다섯 가지 핵심 요소를 알아야 한다.커널(Kern..

리눅스/실무자 2025.08.20

[경제/입문자] 실무노트 목차 안내

경제와 자산관리는 장기적으로 삶의 안정성을 좌우합니다.이 입문자 카테고리에서는 투자와 경제 흐름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개념을 다룹니다.📌 다룰 주제 목록 (20개)경제 지표 이해 (GDP, CPI, 금리)중앙은행과 통화정책환율의 원리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주식 시장 구조 이해채권의 기본 개념ETF와 펀드 이해분산투자의 원칙위험관리와 리스크 헤지포트폴리오 구성 방법기업 재무제표 읽기가치투자 vs 성장투자경기 사이클과 투자 전략부동산과 금리의 관계세금과 투자 수익글로벌 경제 이슈 이해원자재(금, 석유)와 투자기술주 투자와 사이클연금과 장기 투자 전략개인 자산관리 실천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