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기존 글 모음)/예전 자격증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정리 1과목 -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 기출 포함 )

노과장임 2025. 3. 30. 08:36
반응형

3.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1. 주제 개요 및 흐름

이 단원에서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교환 방식인 회선 교환, 패킷 교환, 메시지 교환의 개념과 차이를 학습합니다.
특히 데이터그램 vs 가상회선 비교는 기출문제에서 반복되므로, 특징과 작동 원리를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목차

  1. 개념 정리
  2. 유형 및 구조 비교
  3. 활용 예시
  4. 기출문제 (드래그 정답 포함)
  5. 한줄 요약

3. 개념 정리

1. 회선 교환 (Circuit Switching)

  • 통신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경로를 먼저 설정 (예: 전화)
  • 경로가 설정되면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며, 중간 장비는 경로만 유지
  • 특징: 실시간 통신에 적합, 데이터 순서 보장, 경로 독점 → 비효율 가능

2. 패킷 교환 (Packet Switching)

  • 데이터를 작게 나누어 패킷 단위로 전송하며,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이동
  •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여 효율적으로 사용
  • 종류: 가상회선 방식데이터그램 방식

3. 가상회선 vs 데이터그램

  • 가상회선: 논리적인 연결을 먼저 설정, 순서 보장됨, 연결형 패킷 교환
  • 데이터그램: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 순서 보장 안 됨, 비연결형

4. 메시지 교환 (Message Switching)

  • 전체 메시지를 저장한 후 전송 (Store and Forward 방식)
  • 전송 지연이 크고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

4. 세부 비교

구분 회선 교환 패킷 교환 (가상회선) 패킷 교환 (데이터그램) 메시지 교환
연결 방식 물리적 경로 설정 논리적 경로 설정 경로 설정 없음 경로 설정 없음
순서 보장 보장됨 보장됨 보장되지 않음 보장됨
실시간성 우수 보통 낮음 낮음
장점 지연이 일정, 실시간 통신 적합 패킷 순서 보장 유연한 라우팅, 자원 효율적 중간 노드 저장 가능
단점 경로 독점으로 비효율 초기 연결 지연 순서 뒤바뀜 가능 저장 공간, 지연 큼

5. 기출문제

Q1. 회선 교환 방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각 패킷이 최적 경로로 독립 전송된다.
  2. 전송 전 경로 설정 없이 데이터가 전송된다.
  3. 중간 노드에서 패킷 저장 후 전송한다.
  4. 실시간 통신에 적합하며 지연이 일정하다.

정답: ④

Q2. 패킷 교환 방식의 장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데이터가 연속적이며 실시간성이 뛰어나다.
  2. 경로 설정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전용 경로를 쓴다.
  3. 패킷을 분할 전송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오직 하나의 경로로만 전송된다.

정답: ③

Q3. 데이터그램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송 전에 논리적인 연결을 설정한다.
  2. 모든 패킷이 동일한 경로로 전송된다.
  3.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순서 보장이 안 될 수 있다.
  4. 패킷 손실이 발생하면 모두 재전송된다.

정답: ③

Q4. 메시지 교환 방식의 단점으로 적절한 것은?

  1.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고 순서가 보장된다.
  2. 전송 지연이 작고 효율적이다.
  3. 중간 노드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자동 복구된다.
  4. 전체 메시지를 저장한 후 보내므로 전송 지연이 크다.

정답: ④

※ 정답은 드래그하면 보입니다.


6. 한줄 요약

  • 핵심 요점 1: 회선 교환은 실시간 통신에 적합하고, 패킷 교환은 효율적 자원 활용에 적합
  • 핵심 요점 2: 데이터그램은 순서 보장 X / 가상회선은 연결형으로 순서 보장 O
  • 혼동 주의: 메시지 교환은 Store & Forward 방식 → 전송 지연 큼!

7. 다음 학습 주제

다음 추천 주제: OSI 7계층 / 전송 계층 비교 / 프로토콜 구조

반응형